19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는 1920년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테니스 종목을 말한다. 남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단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등 5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으며, 영국이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남자 단식과 남자 복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이 대회에서 일본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가 탄생했다. 여자 복식 경기가 처음으로 실시된 올림픽 테니스 대회이기도 하다. 총 14개국에서 75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의 테니스 대회 - 세계 하드 코트 선수권 대회
세계 하드 코트 선수권 대회는 1912년부터 1924년까지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종목으로 구성되어 개최된 테니스 대회로, 제1차 세계 대전과 파리 올림픽으로 일부 기간 동안 중단되기도 했으며 쉬잔 랑글렌, 앤서니 와일딩, 막스 데퀴지 등 유명 선수들이 우승했다. - 192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20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벨기에에서 14개국이 참가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벨기에가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네덜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결승전은 체코슬로바키아의 경기 포기로 논란이 되었다. - 192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20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1920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열린 대회로,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스웨덴의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마그다 율린, 핀란드의 루도비카 야콥손과 발테르 야콥손 부부가 각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20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20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벨기에에서 14개국이 참가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어 벨기에가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네덜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결승전은 체코슬로바키아의 경기 포기로 논란이 되었다. - 1920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20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1920년 하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벨기에 안트베르펜에서 열린 대회로, 남자 싱글, 여자 싱글, 페어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스웨덴의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마그다 율린, 핀란드의 루도비카 야콥손과 발테르 야콥손 부부가 각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 1920년 하계 올림픽 |
종목 | 테니스 |
개최 기간 | 1920년 8월 16일 ~ 24일 |
대회 횟수 | 6회 |
주기 | 4년 |
이전 대회 | 1912년 |
다음 대회 | 1924년 |
개최지 | 베이르스호트 테니스 클럽, 콘티흐 |
표면 | 잔디 코트 / 야외 |
참가 선수 | 75명 |
참가 국가 | 14개국 |
메달리스트 | |
여자 복식 | }} |
2. 경기 종목
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개의 테니스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1]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단식 | 루이 레이먼드 | 구마가에 이치야 | 찰스 윈슬로우 |
남자 복식 | 노엘 턴불 맥스 우스남 | 구마가에 이치야 가시오 세이이치로 | 피에르 알바란 맥스 데퀴지스 |
여자 단식 | 수잔 렝글렌 | 도로시 홀먼 | 캐슬린 맥케인 |
여자 복식 | 캐슬린 맥케인 위니프레드 맥네어 | 위니프레드 비미쉬 도로시 홀먼 | 엘리자베스 다옌 수잔 렝글렌 |
혼합 복식 | 수잔 렝글렌 맥스 데큐지스 | 캐슬린 맥케인 맥스 우스남 | 밀라다 스크르브코바 라디슬라프 제믈라 |
2. 1. 남자 단식
남자 단식에서는 루이 레이먼드가 금메달, 구마가에 이치야가 은메달, 찰스 윈슬로우가 동메달을 획득했다.순위 | 선수 이름 | 국가 |
---|---|---|
1 | 루이 레이먼드 | |
2 | 구마가에 이치야 | |
3 | 찰스 윈슬로우 | |
4 | 노엘 턴불 |
'''준결승'''
- 루이 레이먼드 vs. 노엘 턴불 2-6, 1-6, 6-2, 6-2, 6-1
- 구마가에 이치야 vs. 찰스 윈슬로우 6-2, 6-2, 6-2
'''결승'''
- 루이 레이먼드 vs. 구마가에 이치야 5-7, 6-4, 7-5, 6-4
'''동메달 결정전'''
- 찰스 윈슬로우 vs. 노엘 턴불 부전승
2. 2. 남자 복식
'''준결승'''
- 구마가에 이치야 & 가시오 세이이치로 vs. 프랑수아 브랑시 & 자크 브루뇽: 6-4, 4-6, 6-3, 6-1
- 맥스 우스남 & 노엘 턴불 vs. 맥스 데퀴지스 & 피에르 알바란: 4-6, 6-4, 6-3, 10-8
'''결승'''
'''동메달 결정전'''
- 맥스 데퀴지스 & 피에르 알바란 vs. 프랑수아 브랑시 & 자크 브루뇽: 부전승
2. 3. 여자 단식
순위 | 선수 이름 | 국가 |
---|---|---|
1 | 수잔 렝글렌 | |
2 | 도로시 홀먼 | |
3 | 키티 맥케인 | |
4 | 지그리트 피크 | |
'''준결승'''
- 수잔 렝글렌 () 6-0, 6-1 지그리트 피크 ()
- 도로시 홀먼 () 부전승 키티 맥케인 ()
'''결승'''
- 수잔 렝글렌 () 6-3, 6-0 도로시 홀먼 ()
'''동메달 결정전'''
- 키티 맥케인 () 6-2, 6-0 지그리트 피크 ()
2. 4. 여자 복식
'''준결승'''
- 영국 키티 맥케인 & 위니프레드 맥네어 vs. 프랑스 쉬잔 랑랑 & 엘리자베스 다옌 2-6, 6-3, 8-6
- 영국 위니프레드 비미쉬 & 도로시 홀먼 vs. 벨기에 페르난데 아렌트 & 마리 스톰스 6-1, 6-1
'''결승'''
'''동메달 결정전'''
2. 5. 혼합 복식
순위 | 선수 | 국가 |
---|---|---|
1 | 막스 데퀴지 & 쉬잔 랑글랑 | |
2 | 맥스 우즈넘 & 키티 매케인 | |
3 | 라디슬라프 체믈라 & 밀라다 스크롭코바 | |
4 | 에릭 테그너 & 암리 포르머 한센 |
'''준결승'''
- 막스 데퀴지스 & 수잔느 랑글랑 vs. 에리크 테그너 & 암리 포르머 한센: 6-0, 6-1
- 맥스 우즈넘 & 키티 매케인 vs. 라디슬라프 체믈라 & 밀라다 스크롭코바: 9-7, 6-3
'''결승'''
- 막스 데퀴지스 & 수잔느 랑글랑 vs. 맥스 우즈넘 & 키티 매케인: 6-4, 6-2
'''동메달 결정전'''
3.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합 |
---|---|---|---|---|---|
1 | 2 | 3 | 1 | 6 | |
2 | 2 | 0 | 2 | 4 | |
3 | 1 | 0 | 1 | 2 | |
4 | 0 | 2 | 0 | 2 | |
5 | 0 | 0 | 1 | 1 | |
합계 | 5 | 5 | 5 | 15 |
1920년 하계 올림픽 테니스에서는 영국이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프랑스는 금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2위를 차지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3위에 올랐다. 일본은 은메달 2개를 획득하여 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일본 테니스 역사상 최초의 올림픽 메달이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동메달 1개로 5위를 차지했다.
3. 1. 메달리스트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단식 | 루이 레이먼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구마가에 이치야 (일본) | 찰스 윈슬로우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자 복식 | 노엘 턴불, 맥스 우스남 (영국) | 구마가에 이치야, 가시오 세이이치로 (일본) | 피에르 알바란, 맥스 데큐지스 (프랑스) |
여자 단식 | 수잔 렝글렌 (프랑스) | 도로시 홀먼 (영국) | 키티 맥케인 (영국) |
여자 복식 | 키티 맥케인, 위니프레드 맥네어 (영국) | 위니프레드 비미쉬, 도로시 홀먼 (영국) | 엘리자베스 다옌, 수잔 렝글렌 (프랑스) |
혼합 복식 | 수잔 렝글렌, 맥스 데큐지스 (프랑스) | 키티 맥케인, 맥스 우스남 (영국) | 밀라다 스크르브코바, 라디슬라프 제믈라 (체코슬로바키아)[1] |
3. 1. 1. 남자 단식
남자 단식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루이 레이먼드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일본의 구마가에 이치야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일본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찰스 윈슬로우가 동메달을 차지했다.순위 | 선수 이름 | 국가 |
---|---|---|
1 | 루이 레이먼드 | -- |
2 | 구마가에 이치야 | -- |
3 | 찰스 윈슬로우 | -- |
4 | 노엘 턴불 | -- |
'''준결승'''
- -- 루이 레이먼드 vs. -- 노엘 턴불 2-6, 1-6, 6-2, 6-2, 6-1
- -- 구마가에 이치야 vs. -- 찰스 윈슬로우 6-2, 6-2, 6-2
'''결승'''
- -- 루이 레이먼드 vs. -- 구마가에 이치야 5-7, 6-4, 7-5, 6-4
'''동메달 결정전'''
- -- 찰스 윈슬로우 vs. -- 노엘 턴불 부전승
3. 1. 2. 남자 복식
남자 복식에서는 영국의 노엘 턴불, 맥스 우스남 조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일본의 구마가에 이치야, 가시오 세이이치로 조는 은메달을 획득하였는데, 이는 일본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이었다. 프랑스의 피에르 알바란, 맥스 데큐지스 조는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준결승'''
- 구마가에 이치야, 가시오 세이이치로 6-4, 4-6, 6-3, 6-1 프랑수아 브랑시, 자크 브루뇽
- 맥스 우스남, 노엘 턴불 4-6, 6-4, 6-3, 10-8 맥스 데큐지스, 피에르 알바란
'''결승'''
'''동메달 결정전'''
- 맥스 데큐지스, 피에르 알바란 부전승 프랑수아 브랑시, 자크 브루뇽
3. 1. 3. 여자 단식
wikitext순위 | 선수 이름 | 국가 |
---|---|---|
1 | 수잔 렝글렌 | |
2 | 도로시 홀먼 | |
3 | 키티 맥케인 | |
4 | 지그리트 피크 |
'''준결승'''
- 수잔 렝글렌 vs. 지그리트 피크 6-0, 6-1
- 도로시 홀먼 vs. 키티 맥케인 부전승
'''결승'''
- 수잔 렝글렌 vs. 도로시 홀먼 6-3, 6-0
'''동메달 결정전'''
- 키티 맥케인 vs. 지그리트 피크 6-2, 6-0
3. 1. 4. 여자 복식
wikitext
'''준결승'''
- 키티 맥케인 & 위니프레드 맥네어 2-6, 6-3, 8-6 수잔 렝글렌 & 엘리자베스 다옌
- 위니프레드 비미쉬 & 도로시 홀먼 6-1, 6-1 페르난데 아렌트 & 마리 스톰스
'''결승'''
- 키티 맥케인 & 위니프레드 맥네어 8-6, 6-4 위니프레드 비미쉬 & 도로시 홀먼
'''동메달 결정전'''
- 수잔 렝글렌 & 엘리자베스 다옌 부전승 페르난데 아렌트 & 마리 스톰스
3. 1. 5. 혼합 복식
혼합 복식 경기는 프랑스의 수잔 렝글렌과 맥스 데큐지스 조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영국의 캐슬린 맥케인 고드프리와 맥스 우스남 조는 은메달을, 체코슬로바키아의 밀라다 스크르브코바와 라디슬라프 제믈라 조는 동메달을 차지하였다.[1]순위 | 선수 | 국가 |
---|---|---|
1 | 맥스 데큐지스 & 수잔 렝글렌 | -- |
2 | 맥스 우스남 & 키티 맥케인 | -- |
3 | 라디슬라프 제믈라 & 밀라다 스크르브코바 | -- |
4 | 에릭 테그너 & 암리 포르머 한센 | -- |
'''준결승'''
- -- 맥스 데큐지스 & 수잔 렝글렌 vs. -- 에릭 테그너 & 암리 포르머 한센 6-0, 6-1
- -- 맥스 우스남 & 키티 맥케인 vs. -- 라디슬라프 제믈라 & 밀라다 스크르브코바 9-7, 6-3
'''결승'''
- -- 맥스 데큐지스 & 수잔 렝글렌 vs. -- 맥스 우스남 & 키티 맥케인 6-4, 6-2
'''동메달 결정전'''
- -- 라디슬라프 제믈라 & 밀라다 스크르브코바 vs. -- 에릭 테그너 & 암리 포르머 한센 8-6, 6-4
3. 2.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합 |
---|---|---|---|---|---|
1 | 2 | 3 | 1 | 6 | |
2 | 2 | 0 | 2 | 4 | |
3 | 1 | 0 | 1 | 2 | |
4 | 0 | 2 | 0 | 2 | |
5 | 0 | 0 | 1 | 1 | |
합계 | 5 | 5 | 5 | 15 |
4. 참가국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 테니스 종목에는 총 14개국에서 75명의 선수(남자 52명, 여자 23명)가 참가했다. 당시 일제강점기 하에 있었던 대한민국은 참가하지 않았다.
4. 1. 참가국 목록
국가 | 남자 선수 | 여자 선수 | 합계 |
---|---|---|---|
오스트레일리아 | 1 | 0 | 1 |
벨기에 | 8 | 8 | 16 |
체코슬로바키아 | 6 | 1 | 7 |
덴마크 | 1 | 2 | 3 |
프랑스 | 7 | 3 | 10 |
영국 | 4 | 4 | 8 |
그리스 | 1 | 0 | 1 |
이탈리아 | 3 | 1 | 4 |
일본 | 2 | 0 | 2 |
노르웨이 | 2 | 1 | 3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 | 0 | 5 |
스페인 | 4 | 0 | 4 |
스웨덴 | 5 | 3 | 8 |
스위스 | 3 | 0 | 3 |
합계 | 52 | 23 | 75 |
5. 특이 사항
이 대회 남자 단식에서 구마가이 이치야가 은메달을 획득하고, 남자 복식에서 구마가이와 가시와오 세이이치로 페어가 은메달을 획득하여, 일본 스포츠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이 나왔다. 이로써 구마가이와 가시와오는 "일본인 선수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로서 올림픽 역사에 이름을 새겼다. 이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는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서 처음으로 "여자 복식"이 실시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